본문 바로가기
갓성비 꿀팁

윈도우정품인증만료 해결책은?

by 부의노래 2020. 6. 3.
반응형

윈도우정품인증만료 해결책은?

안녕하세요 부의 노래입니다. 

오늘 포스팅 주제는 윈도우정품인증만료에 대한 내용입니다.

윈도우10 보급률이 높아짐으로 인해 전 세계 대부분의 사람들이 윈도우10 운영체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물론, MAC OS를 사용하시는 분들도 꽤 많은 편이지만 절대적인 수치를 본다면 윈도우 사용자가 많은 것이 현실입니다.

다만, 윈도우10의 경우 정품인증을 받아서 사용해야 하는데 가끔 윈도우정품인증만료로 인해 고민이신 분들을 주변에서 많이 봐왔습니다. 

윈도우정품인증이 만료되는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소위 "정품"을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동네 컴퓨터방에 수리를 맡기고 3~4만원에 윈도우를 설치해준다고 하여 의뢰를 했는데 갑자기 정품인증이 만료되는 바람에 바탕화면에 "해당 윈도우는 정품이 아닙니다. 정품인증을 해주세요."와 같은 워터마크가 찍히게 되는 것이지요.

그나마 10으로 오면서 예전과 달리 사용상 큰 문제는 없으나, 전체적인 윈도우 제공 기능,  컴퓨터 보안 등을 생각하신다면 무조건 정품인증을 받으셔서 주기적인 윈도우 보안 업데이트와 함께 사용하시는 것을 권장드리는 바입니다.

 

그렇다면, 정품인증이 만료되었을 때 해결책을 알아보겠습니다. 

대표적으로 "정품키"를 구입해 인증하는 방법입니다. 

윈도우10의 경우 여러 가지 정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특히, 설치 USB로 되어 있는 제품도 있지만 온라인을 통해 정품 제품키만 보내주는 형태도 있습니다. 

1) FPP : 처음 사용자용 라이센스로 이 라이센스를 등록하게 되면 평생 사용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를 바꿔도 계정 로그인만 하면 혜당 계정에 라이센스가 저장되어 영구 귀속으로 계속 쓸 수 있습니다. 설치 USB도 제공합니다. 보통 가격이 10만 원 후반~20만 원 정도 하죠.

2) ESD :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품키만 구입하는 형태입니다. FPP와 거의 유사하며 설치 USB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3) DSP : 정품인증을 하면 메인보드에 제품키가 귀속됩니다. 컴퓨터 바꾸면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4) OEM : 기업용 라이센스입니다. 

5) VL : 일명 볼륨키입니다. 규모가 큰 기업이나 PC방 등 한 인증키로 여러 대 인증이 가능합니다. 일반 사용자용은 아닙니다. 

가장 좋은 것은 FPP 를 구매하는 것이나, ESD를 구매하셔도 괜찮습니다. 

온라인 쇼핑몰에서 파는 몇 천 원짜리 라이센스는 정품이 맞느냐?!

불법입니다. 가장 안전한 것은 마이크로소프트를 통해 구입하시는 것이 윈도우정품인증이 만료되었을 때 가장 안전하게 해결하실 수 있는 방법입니다. 

 

다만, 내가 예산이 많이 부족해서 불가피하게 불법인지 알고도 오픈마켓에서 제품키를 구입했다. 

해당 키가 그래도 정품인지 알고 싶다면 아래 방법을 참고하세요. 

몇 가지 CMD 명령어를 통해 제품키를 등록하고, 제품키 라이센스를 확인하고, 만료일자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윈도우키 + X + A를 클릭하셔서 Windows PowerShell(관리자)를 클릭해주세요. 추가로 오픈되는 팝업창에서는 "예"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2) 위와 같은 파란창이 하나 나오는데 여기에 CMD 명령어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띄어쓰기에 주의해주세요.

slmgr /dlv 라고 기입하고 엔터를 누릅니다. 

 

 

 

위와 같은 창이 뜨는데 "Retail"로 명시된다면 올바른 제품키입니다. 쉽게 말해 Retail은 개인용이며 Volume은 단체용입니다. 우린 Retail 용이어야 합니다. 만약 저기에 VOLUME_MAK_channel 등과 같이 VOLUME이라는 글자가 보인다?

잘못 구입하신 것입니다.

또한, 부분 제품 키가 입력하신 라이센스키 마지막 자리와 동일해야 합니다. 만약 다르다? 의심해보셔야 합니다.

 

두 번째 명령어 

slmgr /dli

dli 명령어를 통해서도 간단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나오면 올바른 라이센스키입니다.

 

세 번째 명령어

slmgr /xpr

라이센스 유효기간을 알 수 있습니다. 

영구적으로 인증되었다는 문구가 나와야 정상제품입니다.

 

그 외 명령어 정리

slmgr /cpky : 레지스트리에서 현재 라이센스키 삭제

slmgr /upk : 컴퓨터에서 현재 라이센스키 삭제

slmgr /ipk 시리얼 번호 : 라이센스키 등록 (ex) slmgr /ipk 455K9-65KS3-00S57-00SSD-122KD 이런 식으로 "-"도 꼭 넣어줘야 합니다.)

slmgr /dli : 현재 라이센스 확인

slmgr /xpr : 라이센스 유효기간 확인

 

윈도우정품인증만료시 정품 라이센스를 구입하셔서 등록 후 사용하시길 바라며, 확인해보니 볼륨키라고 하시는 분들은 판매자분께 꼭 문의하셔서 Retail 키로 보내달라고 요청하세요. 만약 어렵다면 환불 요청하시길 바랍니다.

볼륨키는 추후, 불가피하게 인증이 풀려버리는 불상사가 생길 수 있어 주의를 요합니다.

반응형

댓글